'#[카테고리:] 60+ 책 추천' 검색 결과
2023년 가을, 쇼펜하우어에 대한 철학책 한 권이 철학 교양서 최초로 전 서점 종합 베스트셀러 1위에 오른 후, 지금까지 지속적인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2023년과 2024년에 왜 다양한 연령대의 사람들이 쇼펜하우어의 철학에 열광하는 걸까요? 현시대의 고통을 해소하고 마음의 위기를 극복하라는 쇼펜하우어의 철학이 유행하는 걸 보니 사람들의 마음이 힘든가? 라는 생각이 들며…
새해가 시작되면 너나 할 것 없이 생전 처음 맞는 해처럼 각오를 다집니다. 숫자가 바뀔 뿐인데 단단히 마음을 다잡거나 고쳐먹어서 엄청난 변모를 이뤄낼 것 같은 말들을 쏟아냅니다. 마음먹은 대로 되어도 나! 안되어도 나! 입니다. 별다름 없는 자신일지라도 그대로 인정하며 살자고 ‘마음먹기’해 보면 좀 더 여유로운 2024년을 맞이할 수 있을 것…
봄날 같은 겨울날들이 일주일도 넘게 계속되었지만 말라가던 단풍은 겨울비에 모조리 떨어져, 마른 가지들을 드러냈다. 그러더니 한파가 닥쳐 그 마른 가지들이 모든 물기를 거둔 채 추위를 견딜 채비를 끝냈다. 연둣빛으로 올라오는 봄날의 설렘이 환희라면, 쨍한 겨울 하늘과 조화를 이루며 늠름하게 추위에 맞서는 마른 가지는 경이롭다. 인생도 이렇듯 봄날은 봄날이라 겨울은…
단편 소설집을 사는 이유 중 하나가 제목 보고 골라 읽는 재미입니다. 마음 크게 먹지 않아도 한 번에 읽을 수 있습니다. 테마 소설집도 비슷하지만 조금 다릅니다. 골라 읽을 수 있는 점에선 비슷하지만, 일정한 주제를 중심으로 소설을 모았다는 점입니다. 10여 년 전부터 테마 소설집을 사서 읽었습니다. 그때는 장편소설을 읽을 여유가 없거나…
한 해가 지나갑니다. 언제 시작됐나 싶게 새롭게 다가왔던 날들이 흐르고 흘러서 올 한 해도 어느덧 보름 남짓 남았습니다. 이상하리만치 12월은 다른 달보다 하루하루가 더 빨리 지나가는 것 같습니다. 한 해를 갈무리하는 지금, 삶의 여정을 함께 한 내 옆의 사람들을 살피며 그들과의 인연을 차분히 되짚어보면 어떨까요? 삶이 흐르는 동안의 즐거움이나…
어느 덧 2023년도 다 지나가고 있습니다. 연말 어떻게 보내고 계신가요? 올 한 해를 마무리하는 시점, 어떤 주제로 책을 추천해 드리면 좋을지 고민하다가 한국시집을 추천해 드립니다. 누구나 이름 한 번쯤 들어봤을 법한 시인들의 아름다운 시들을 담은 책 3권을 권해 드립니다. 조용한 음악과 함께 시를 읊조리며 조용하고 사색적인 연말의 시간을 보내보시기…
나이에 따라 현실 인식이 다를 것이다. 청소년 시기에 중요했던 것이 그 시기가 지나면 그다지 중요하거나 절대적이지 않기도 하다. 같은 시기라 해도 사람마다 받아들이는 인식의 차이도 있다. 문학적 서사를 접하는 독자의 경우, 각자가 가지고 있는 경험과 생각으로 그 서사를 받아들이는 차이는 있지만 많은 이가 공감하고 사랑하는 문학작품은 문학적 서사가 주는…
소설 배경을 찾아 떠나는 여행입니다. 소설 속 인물들이 다녔던 길을 따라가기도 하고, 소설에 등장하는 장소와 작가를 태어나게 했던 공간을 찾아가기도 합니다. 소설가, 라디오 작가, 문학을 가르치는 선생님 등 다양한 사람들이 여행하면서 풀어 놓은 작품과 공간 이야기를 즐기시고 시간 나시면 떠나시길 바랍니다. 『이야기를 걷다』 조갑상 ∣ 산지니 ∣ 304쪽 ∣…
“아~ 00동 냄새.” 낯익은 풍경을 만나면 풍경에서 냄새가 납니다. 아주 익숙하고 편안해 지는 냄새요. 집에 도착하면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역시 집이 최고야.” 합니다. 집은 익숙하고 편안한 공간이지요. 새 집으로 이사한 첫 날, 이삿짐을 정리하다가 저녁이 되면 ‘이제 집에 가서 쉬어야겠다.’ 하는 생각이 드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그러고 보니 집은…
매년 11월 11일은 보행자의 날입니다.보행자의 날은 산업화에 따른 미세먼지 증가, 제한적인 에너지의 위기 도래, 환경 보호요구에 대응하고, 국민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걷기의 중요성을 확산하기 위해 제정된 국가기념일입니다. 숫자 11이 사람의 두 다리를 연상시켜서 11월 11일을 보행자의 날로 지정했다고 합니다. 환경도 지키고, 내 건강도 지킬 수 있는 걷기, 이번에는…